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성균관대 SKKU Startup, 투자 유치 후기 7개
    국내 대학별 실전 창업 2025. 7. 21. 08:26

     

    성균관대학교 스타트업 팀 7곳의 실제 투자 유치 후기를 통해, SKKU 창업 생태계가 어떻게 엔젤 투자자, 벤처 캐피털, 액셀러레이터와 연결되었는지 살펴보세요.

    후기 1: Luda AI – 교내 챗봇에서 시드 투자까지

    캠퍼스용 AI 챗봇으로 시작한 Luda AI는 SKKU 엑셀러레이팅 과정을 통해 MVP를 완성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확보했습니다. 이 과정을 기반으로 교내 데모데이에서 엔젤 투자자를 유치했습니다. 교훈: 초기 피드백과 대학의 신뢰성이 투자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후기 2: EcoBagGo – VC 유치 전 정부 지원금 확보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EcoBagGo는 정부 창업지원금과 SKKU 창업 바우처를 결합해 제품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지분 희석 없이 초기 자금을 확보하고, 제품이 성숙한 이후 VC 투자 유치에 나섰습니다. 전략: 비희석 자금을 먼저 확보하면 협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후기 3: MedCode – TIPS 프로그램 진입 성공

    SKKU 멘토와 동문 네트워크의 도움으로, MedCode는 강력한 B2B 파트너십을 제시하며 TIPS에 선정되었습니다. IR 자료는 임상적 영향력과 규제 전략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팁: 투자자 성향과 업종에 맞춘 피치 전략이 중요합니다.

    후기 4: F&B AI – 업계 맞춤형 엔젤 투자 확보

    AI 기반 메뉴 최적화 툴을 개발한 F&B AI는 SKKU의 식품산업 네트워크를 활용해 관련 분야의 엔젤 투자자로부터 투자를 받았습니다. 인사이트: 해당 분야를 잘 아는 투자자를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

    후기 5: BloomCare – 투자설명과 미디어 노출의 시너지

    헬스테크 스타트업 BloomCare는 투자 설명회와 동시에 대학 PR 팀의 지원을 받아 언론 노출을 극대화했습니다. 이로 인해 디지털 헬스 스타트업을 찾던 VC의 관심을 끌 수 있었습니다. 전략: 노출과 투자 유치를 병행해 시너지 효과를 누리세요.

    후기 6: PackToGo – 크라우드펀딩에서 VC 연결까지

    교내 창업경진대회에서 수상한 PackToGo는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시장 수요를 검증했고, 이를 바탕으로 시드 단계 액셀러레이터에 선정되어 VC와 연결되었습니다. 참고: 제품-시장 적합성 증명은 투자 유치의 핵심입니다.

    후기 7: AutoLang – 학술 신뢰를 통한 투자 신뢰 확보

    AI 언어 학습 플랫폼 AutoLang은 SKKU 교수진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기술력을 증명했고, 이를 바탕으로 초기 단계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었습니다. 교훈: 학문적 검증은 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차별화 요소입니다.

    7가지 후기를 통해 얻은 핵심 전략

    • 대학 지원 활용: 신뢰성과 네트워크 확보에 도움
    • 단계별 자금 전략: 각 성장 단계에 맞는 최적의 자금 조달 방식
    • 타이밍과 스토리텔링: 시기와 메시지 구성의 중요성
    • 투자자 맞춤형 피칭: 산업군과 투자 성향 고려한 설계
    • 검증 데이터 확보: 사용자, 시장, 연구 결과로 신뢰도 강화

    맺음말

    SKKU Startup Program은 단순한 교육이 아닌, 실제 기업 성장을 이끌어내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한 7가지 투자 유치 사례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자금을 확보한 경험을 보여주며, 창업자 여러분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제시합니다.

    당신의 스타트업에는 어떤 자금 유치 전략이 가장 잘 맞을까요?

     

    성균관대 SKKU Startup
    성균관대 SKKU Startup

     

     

Designed by Tistory.